빅서부터는 (정확히는 애플실리콘 출시 이후 인것 같다) 배터리의 "최대 충전 용량"이 나오지 않는다.
배터리 상태 확인
(왼쪽 상단) > 이 Mac에 대하여 > 추가정보
시스템 설정 > 일반
> 시스템 리포트 > 전원
이렇게 배터리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년이 넘은 제품이지만 사이클 수가 52에
성능 최대치가 98프로라고 나오네요. 꽤 상태가 좋다고 볼 수 있죠? 과연 그럴까요?
Coconut Battery 앱 사용하기
https://www.coconut-flavour.com/coconutbattery/
코코넛 배터리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맥북의 설정에서 확인하는 성능 최대치는 98프로였는데,
코코넛 배터리에서 확인하는 성능 최대치는 92프로 입니다.
뭐가 맞을까요?
Terminal에서 배터리 상태 확인하기
ioreg -w 0 -f -r -c AppleSmartBattery | grep "Capacity"
"CurrentCapacity" = 100
"AppleRawCurrentCapacity" = 7984
"AbsoluteCapacity" = 0
"NominalChargeCapacity" = 8228
"MaxCapacity" = 100
"DesignCapacity" = 8694
"AppleRawMaxCapacity" = 7984
코코넛 배터리가 터미널에서 이 커맨드를 통해 얻은 정보를 뿌려주기 때문에 더 정확하다고 신뢰하는 편입니다.
"BatteryData"라는 Json형식으로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기 때문에 맥북 자체에서 가지고 있는 데이터기 때문입니다.
맥북을 꽤 오랫동안 썻지만, 아직 애플에서 배터리 수명을 계산하는 로직을 알지는 못합니다.
결론 : 배터리는 소모품일 뿐이지만, 그래도 확인하려면 Terminal 혹은 Coconut 배터리를 사용하자
사실 위에서 언급한 코코넛 배터리 말고도 여러,
맥북의 상태를 확인하는 어플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사용하는 어플 중에 고양이가 뛰어다니는 "RunCat"이라는 어플이 있는데,
이 앱도 배터리 상태를 보여줍니다.
Max Capacity가 100%인것은,
위에서 말한 터미널의 정보값중에 "MaxCapacity"라고 되어있는 값을 그대로 긁어온 것일텐데,
'시스템 리포트 > 전원' 에서 확인하는 수치가 98인데 아직 반영이 안된 것 같죠?
흔히 맥북 상태를 확인하는 앱중 하나인 'istatica'입니다.
Maximum Capacity가 7984로 코코넛 배터리와 같습니다.
터미널에서 ioreg 커맨드를 사용해서 "AppleRawMaxCapacity"값을 읽어 표시해주기 때문에
코코넛 배터리의 방식과 같습니다.
출시한지 1년밖에 안된 제품인데 벌써 92프로라니 조금 마음이 아픕니다.
중고로 구매해왔을때, 사이클이 40대 초반인 제품을 사왔는데 아쉽습니다.
'IT-Service&Device💻 > APP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 Neofetch로 Terminal 꾸미기 (0) | 2023.06.05 |
---|---|
MAC | 와이파이와 블루투스 :: 끊김 현상 [해결] (0) | 2023.04.17 |
Apps | Mac 추천 App 설치 리스트 - Notion 공유 (0) | 2023.03.18 |
iPad | Goojodoq 짭직 키보드 구매 - 매직키보드 대체 (0) | 2023.03.18 |
iPad | MDM Bypass (우회)하기 | iPad가 살아났어요! (0)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