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파일, 디렉토리 권한 확인하기
ls -l 명령을 사용하여 파일 혹은 권한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제일 앞의 10자리 (마지막 Shipping이라는 디렉토리를 예로 보자)
d | rwx | r-x | r-x | 로 나누어서 볼 수 있다.
첫번째 구간 : - or d : 파일이면 '-'로, 디렉토리면 'd'로 표현된다.
두번째 구간 : 사용자 권한 rwx > 읽기, 쓰기, 실행
세번째 구간 : 그룹 권한 r-x > 읽기, 실행
세번째 구간 : 다른 사용자 권한 r-x > 읽기, 실행
그 뒤에 따라오는 내용으로, ec2-user Shipping은 사용자(소유자)와 그룹을 나타낸다.
파일의 권한 모드 변경
chmod > 문자로 표현
u 사용자, g 그룹, o 다른사용자, a 전부에게
r 읽기, w 쓰기, x 실행 권한을 지정할 수 있다.
더하기(+)를 사용하여 권한을 추가하고,
빼기(-)를 사용하여 권한을 빼앗는다.
숫자로 권한 변경하기
rwx를 순서대로 2진법으로 계산하여 r=4, w=2, x=1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chmod 400으로 권한을 변경하면 사용자에게 읽기권한만 부여한다.
chmod 731로 권한을 줬을땐,
사용자 rwx | 그룹 -wx | 다른사용자 --x의 권한만 부여된 것을 볼 수 있다.
파일의 소유권 변경(루트만 가능함, sudo)
sudo chown -R user:group /home/ec2-user/companyA
'Amazon Web Service > AWS ReSt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 서비스 관리 - 모니터링 (0) | 2023.05.26 |
---|---|
Linux | 프로세스 관리 (0) | 2023.05.26 |
Linux | 파일 백업 (0) | 2023.05.22 |
Linux | 파일시스템 작업 (0) | 2023.05.22 |
Linux | 인스턴스 연결 후 리눅스 기초 (0) | 2023.05.22 |